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사시험 등고선 지형조정 이해하기[1부]

by 아키텍트류 2019. 9. 28.
반응형

***건축사시험 중 1교시 지형조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형계획이라는 과제는 지형 등 자연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대지를 조성하고, 제시된 설계조건에 따라 대지의 지형을 조정하게 함으로써 설계조건에 대한 이해력과 대지조성 관련 지형계획 능력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https://tv.naver.com/v/10385417

 

(#1)등고선 지형조정 10분만에 이해하기[건축사시험]

건축사시험 공부방 | 많이 어려워 하시는 지형조정에 대한 작도영상입니다. 지형계획의 Key Point중 첫번째는 "계획지반의 성.절토균등 입니다. 지형계획이라는 것은 Main 지반의 위치가 가급적 성.

tv.naver.com

특히, 지형계획을 풀이할때는 지형(등고선)의 형태 및 경사방향을 이용하여 대지의 위치 및 방향을 검토해야 합니다.

검토시 자연요소, 법적이격조건 및 인위적인 제한요소까지 고려하고 대지의 계획영역의 단면 검토 부분까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출제유형으로는 주어진 지형의 고저를 조정하고 대지 안에서 우수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며, 지질조사 결과물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등고선 조정 및 건축물 배치하는 type, 주어진 자연지형을 최대한으로 살리면서 필요한 면적을 가진 시설을 계획하는 type 그리고 계획대지으 단면 조건에 맞추어 요구되는 평면과 단면의 크기를 배치하는 대지 단면 조건에 따른 건축물 배치 type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형계획의 Key Point중 첫번째는 "계획지반의 성.절토균등 입니다. 지형계획이라는 것은 Main 지반의 위치가 가급적 성.절토가 균등한 위치에 있는가를 검토하는 과제입니다.

따라서 제시된 시설물 중 옥외공간 및 도로등이 포함되지만 이러한 시설물은 Main지반의 위치를 기준으로 계획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계획시 지형조정의 최소화 입니다. 전체적인(대지 또는 부지, 옥외공간, 도로 및 기타주변 지형 등) 지형조정이 최소화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세부적인 사항으로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설명하고 있지만, 지반의 표고와 기존 등고선의 표고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존 등고선의 표고와 무관한 지반의 표고가 주어진 경우는 제시된 경사도에 따라 일정 수평거리 이상을 이격 하여 기존등고선을 조정하여야 하며, 만약 지반의 표고와 기존 등고선의 표고가 일치하는 경우 기존 등고선의 표고와  동일한 지반의 표고가 주어진 경우는 지반의 외곽 경계선에 붙여서 기존 등고선을 조정하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한가지는 수정된 등고선은 교차되거나 나누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원활한 우수처리계획 및 절토, 성토의 균등한 계획등 기본적인 지형조정 능력을 갖추어야 함으로 등고선이 교차되거나 중간에 사라지는 등의 계획을 하면 안됩니다. 이것을 쉽게 이미지화 하기 위해 아래 동영상에도 설명하였지만, 고무줄을 이미지화 해서 연습하시면 등고선 지형조정도 그렇게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이 어려워 하시는 지형조정에 대한 작도를 영상으로 알기 쉽게 제작해 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