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사시험 일조권 분석/조닝 작도법[1부]

by 아키텍트류 2019. 9. 27.
반응형

건축사시험 1교시 분석,조닝 작도 영상입니다.

2009년도에 출제되었던 문제를 풀이해 보았습니다.

분석/조닝의 출제유형은 크게 3가지정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규모제한조건을 고려한 단면상 건축 가능범위나 층수를 결정하는 문제로 법규상의 높이제한, 이격거리제한, 지반고의 차이, 기타 계획조건을 고려하여 건축이 가능한 단면상 범위를 결정하는 기본능력을 평가하는 문제입니다.

둘째,가상 지표면을 기준으로 건축 가능한 건물의 규모를 결정하는 문제로 인접한 도로와 대지 지표면의 높이 차이로 생기는 가상도로면과 가상지표면을 설정하고, 가상지표면을 기준으로 건축 가능한 건물의 규모를 결정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입니다.

세째,경사 대지내 인동거리 등을 고려한 건축가능 범위를 결정하는 문제로 건축규모 제한에 관한 법규를 대지에 적용하여 건축이 가능한 규모를 파악한 다음, 이 규모가 건축적으로 적정한지를 검토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분석/조닝 문제는 법규에 의한 건축물의 규모제한과 각종 장애물을 고려하여 평면 또는 단면의 크기와 모양을 계획하는 과제임으로, 제한조건을 합리적으로 해석하여 적정건물규모(평면, 단면)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주요 제한조건으로는 건축선,사선제한,일조권,건폐율,건물최고높이 등 법규상 제한조건과 인접도로 레벨차 및 경사, 문화재 인접, 공동구 대지 관통 등 장애물 등이 있을 수있습니다.

분석/조닝 문제는 건물의 용적(바닥면적,용적률,층수 및 층고)등 규모를 계획하는 과제와 대지 평면의 현황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대지단면 검토를 위한 기준을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평면상의 대지안의 공지규정 및 인접한 장애요소에 대한 이격거리 및 도로경계선의 변화 등을 담고있는 문제로 대지의 변화 및 최대규모의 형상에 대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분석/조닝 관련 주요 규모 제한조건으로는 제한과 제약이 있습니다.

건축물의 규모 제약조건의 내용은 법규,자연, 인위적 요소 등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있습니다. 이 3가지 요소는 건축물의 크기와 형상을 제한하는 단순한 내용을 내포하고 있지만 계획적인 응용력을 검증하기 위한 제약적인 요소로도 사용이 됩니다. 건폐율이라는 제한적 요소가 추가되면 지하층의 최대노출은 지상층의 최대용적이 고려가 되어 건축면적 산입의 기준 즉, 지표면으로 부터 1m까지만 노출시켜야 하는 제약적인 내용으로 변화됩니다. 이러한 사항은 대지면적의 변형을 지문에 제시하지 않고 대지현황을 파악하여 대지의 규모를 조정한 후 제한적인 내용을 적용하는 단순한 방식의 한가지 "예"이며 제한과 제약이라는 조건의 내용을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