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조물을 설치하는 지반에 재하판을 통해서 하중을 가한 후 하중과 침하량의 관계에서 지반의 지지력을 구하는 시험. 재하판의 크기에 따라 시험 범위가 제한되므로 지반의 성상이 깊이 방향에 따라 변화하거나 국소적으로 불규칙할 때는 사운딩이나 토질시험을 실시한다.
*평판재하시험 방법
- 평판재하시험 기구 :
Jack(용량 500kN이상 또는 최대 예상하중 용량)
Load Cell(하중을 +-2% 정밀도로 측정)
Dial Gauge(스트로크 50mm이상 0.01mm 정밀도 필요)
재하판(지름300~750mm, 두께 25mm이상의 강제 원판 또는 사각 철판)
지주(시험장소에서 2.4m 떨어진 점에서 지지)
- 평판재하시험 방법
1)최소한 3개소 시험을 하며, 시험개소 사이의 거리는 재하판 지름의 5배 이상, 예비재하를 한 다음 1 Cycle방식 혹은 다 Cycle방식 중 선정하여 실시.
2)하중 증가는 100kN/m2 이하 또는 예상 지지력의 1/5이하의 하중으로 나누고 누계적으로 동일 하중을 재하.
3)재하시간 간격은 최소 15분 이상, 시간 간격 변경시 일련의 모든 시험에 동일 적용
4)침하량 측정은 하중 증가 바로 전후, 일정 하중 유지시 동일 시간 간격으로 6회 이상 측정
5)시험종결은 침하의 진행과 하중 비율이 일정할 경우 또는 시험기의 용량 이상 하중으로 증가할 경우 또는 침하량이 적어도 판 지름의 10%가 될 때가지 시험
6)최후 하증 증가에 대한 관측 완료 후, 재하하중 제거시 선정된 시간 간격으로 탄성 반동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계속 기록
- 시험결과 정리
하중, 침하량 및 재하시간에 대한 적절한 곡선법을 선택하여 그래프를 작성한 후, 설계하중, 시험하중강도, 허용지지력, 항복하중강도, 설계하중에 대응하는 최종침하량 등의 결과를 분석, 정리한다.
반응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il Nailing 흙막이 공법 [소일 네일링 공법] (0) | 2022.09.27 |
---|---|
CIP공법 (1) | 2022.09.25 |
이동식 틀비계 설치기준 (0) | 2022.09.21 |
비산먼지 특정공사 신고대상 (0) | 2022.09.21 |
환경관리 계획서 제출대상 (0) | 2022.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