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시험기출문제5 건축사자격시험 2004년도 평면설계 기출문제 분석 2004년도 건축사자격시험 평면설계(ㅇㅇ기념관 평면설계) 기출문제 분석 youtu.be/tRfb86H0-rE *제목: ㅇㅇ기념관 평면설계 1.과제개요 지역 문화발전에 기여하는 소규모의 기념관을 기존 건물에 연결하여 증축하고자 한다.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평면도를 작성하시오 2.건축개요 (1)용도지역: 제2종 일반주거지역 (2)주변현황: 대지 현황도 참조 (3)대지면적: 1,530m2 (4)건폐율: 60%이하 (5)용적률: 200%이하 (6)규모(기존 및 증축건물): 지하1층, 지상2층 (7)구조: 철근콘크리트조 (8)층고 *기존건물: 1층 3.9m, 2층 3.6m, 지하층 4.5m *증축건물: 1층 4.5m, 2층 4.2m, 지하층 4.5m 3.도면작성요령 (1)1,2층 평면도를 작성(1층 평면도에 조경.. 2020. 6. 12. 2013년도 건축사시험 평면 기출문제 분석 2013년도 건축사자격시험 평면 기출문제(도시재생을 위한 마을 공동체 센터) 분석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youtu.be/lS1ncUa_UB4 * 제목: 도시재생을 위한 마을 공동체 센터 1.과제개요: 주민들이 오랫동안 사용한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마을 공동체 센터를 증축하고자 한다.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1,2층 평면도를 작성 하시오. 2.건축개요 (1)용도지역: 제2총 일반주거지역 (2)주변현황: 대지현황도 참조 (3)대지면적: 1,460m2 (4)건폐율: 60%이하 (5)용적률: 200%이하 (6)규모: 지상2층(지하층은 고려하지 않음) (7)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기존 건축물은 1층 조적구조) (8)층고: 기존건물(처마높이 4.8m, 최고높이 7.5m), 증축건.. 2020. 6. 5. 2007년도 건축사시험 평면기출문제 분석(지방공사 신도시 사옥 평면설계) 2007년도 건축사자격시험(건축사시험) 평면기출문제 분석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youtu.be/45MXSzM4-l4 제목: 지방공사 신도시 사옥 평면설계 1.과제개요 저층부(1층~2층)에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개방하는 공익문화시설과 은행지점을 갖춘 사옥(업무시설)을 건축하고자 한다. 아래 설계조건에 따라 1층 및 2층 평면도를 작성하시오. 2.건축개요 (1)용도지역: 일반상업지역 (2)계획대지: 대지현황도 참조 (3)대지면적: 1,948m2 (4)규모: 지하3층, 지상12층 (5)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6)층별 주요용도 및 층고 - 3~12층(기준층) : 사무실, 층고3.9m - 2층 : 민원실, 전시실 및 강당홀, 체력단련실, 층고 4.5m, [다목적강당 층고 5.4m] - .. 2020. 6. 1. 건축사자격시험 2009년도 배치계획 기출문제 풀이 2009년도 배치계획 기출문제 계획, 도면작도, 지형조정에 대한 문제풀이입니다. 2009년도 배치계획 기출문제의 난의도는 다소 높은 편으로 시설물의 적층구조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요구한 문제입니다. 즉, 입체적 사고를 통한 합리적인 배치계획 능력을 측정한 문제였다고 생각됩니다. 기숙사동의 평면 형태해석을 통한 하부층의 합리적 구조 시스템과 지하주차장의 계획까지 유추할 수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로 입체적 사고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던 문제였습니다. *동영상(1부) : http://youtu.be/XpcC829NPH4 *동영상(2부) : http://youtu.be/fkysu4WzC5I *모범답안: 보다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 5. 3. 2010년도 건축사자격시험 기출문제 "공동주택 최대 건립세대수"(분석조닝) 역대 건축사자격시험 분석,조닝 문제중 가장 어려운 문제였다고 생각되는 2010년도 기출문제에 대한 해설 및 답안입니다. 이 문제를 풀기위해서 무단히도 오랜 시간이 걸렸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그렇지만 원리는 단 하나 건축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사선이 가장 적은 곳을 공략해서 최대 층수를 만들면 자연스럽게 문제가 풀리게 됩니다. 이 간단한 원리를 파악하는데 몇 년의 세월이 걸렸는지 모르겠네요. 원리는 간단하지만, 그 응용은 고도의 계산과 전체를 보는 냉철함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과연 이 문제를 2010년도 수험생들은 어떤 마음으로 풀었을까? 생각해 보면 그 들이 가졌을 충격과 답답함을 시간이 지난 지금도 느낄 수 있을 듯 합니다. 정상적으로 1시간 내에 이 문제를 풀수 있는 수험생은 단언컨데 단 한명도 없었을.. 2020. 3.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