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면작도6

건축사자격시험 장애인을 고려한 계획이란[2015년 평면기출문제 작도 #6] "건축사자격시험(건축사시험) 과 장애인 시설은 무슨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일까?" 에 관한 내용입니다. 동영상: https://youtu.be/5QWeSqni1ZQ 도면 다운로드: 배치계획과 평면계획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애인을 고려한 계획" 을 하라는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면, 1. 배치 계획적 측면 - 주로 주차장에 국한해서 장애인을 고려한 주차 계획이 출제되고 있음. - 장애인을 고려한 주차 계획이란 건축물 옆에 장애인용 주차장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계획법임. 장애인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방문객 장애인 인지? 그 시설에서 근무하는 장애인 인지? 를 구분할 필요도 있음. - 2001년 배치 기출문제의 경우, 장애인 학교에 다니는 초등학생들은 모두 장애인이 었지만, 장애인 주차장에 설치된 장애인용 주.. 2020. 1. 21.
건축사자격시험 배치계획풀이/도면작도(2019년도 기출문제)#4 건축사자격시험(건축사시험) 배치계획 중 도면작도 단계입니다. 내용이 긴 관계로 지형조정은 다음편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AhQIo6_5mFM *도면다운로드 작도 시간은 지형조정 부분을 제외하고 약45분~50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2019년도 기출문제의 경우 난의도가 높고, 지형조정까지 포함되어 있는 문제 유형으로 시간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문제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 1. 8.
건축사자격시험 단면설계 PROCESS (2019년도 기출문제) 건축사자격시험 3교시 단면설계 PROCESS에 대해서 2019년도 건축사시험 기출문제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면다운로드 "단면 작성 Process"의 필요성은 항상 일정 수준의 단면 품질을 확보하고, 시간내(약2시간) 합격 가능한 점수를 획득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프로세스의 시작은 크게 계획부분에 해당하는 지문분석, 가단면 작성 및 Lay-out 작도 부분과 본격적인 도면 작도에 해당하는 골조작도, 계단작도, 실명/재료마감기입 및 기타/조경 및 마무리까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1)계획부분 단면설계의 시작은 지문분석과 주어진 평면도의 입체적 해석 능력에 따라 가단면 작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즉, 출제자의 의도가 포함된 지문속에서 중요한 설계주안점을 면밀히 살피지 않으면.. 2020. 1. 2.
건축사자격시험 평면계획 기출문제 풀이(2019년도) 2019년도 건축사자격시험 평면계획 작도 영상입니다. *동영상 보기 : https://youtu.be/gzd_FrnhHJ4 *도면다운로드 동영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9. 12. 28.
건축사자격시험 2교시 평면계획 도면작도 (2017년도 기출문제)#1 건축사자격시험 2017년도 기출문제 2교시 평면계획 도면작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관련된 평면 계획부분은 먼저 포스팅해 놓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ssgyoo.tistory.com/82 건축사자격시험 / 코아 위치 찾기 실전 문제 도전(2017년 기출문제 풀이 포함) 건축사자격시험 2교시 평면계획에서 "코아(Core)를 선정하는 6가지 요소"에 대해서 앞 시간에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2017년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서 상기 이론을 검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동영.. ssgyoo.tistory.com 1. 먼저 진행해야 할 부분은 트레이싱지에 계획된 계획지에서 세밀하게 소요 면적 등을 고려해서 정밀하게 치수 계획을 합니다. 2. 다음 단계는 기둥의 주심을 계획합니.. 2019. 12. 19.
[#3]평면계획 도면작도[건축사시험] 건축사자격시험 평면계획 중 도면작도입니다. 지문분석, 현황도분석,이 완료되고 트레이싱지를 이용해서 합리적인 토지이용계획까지 완성되었다면 어느 정도 평면의 윤곽이 나올겁니다. 물론, 조닝과 동선이 명확하게 구획되고 스팬그리드의 구획까지 완료되었다면 보다 정답에 가깝게 다가선것입니다. 이제 신속하게 평면 레이아웃(Lay-out)을 그리고 템플릿을 활용해서 빠르게 기둥을 그려서 전체적인 평면의 형태를 완성시킵니다. 다음은 코아부위에 해당하는 계단실 및 화장실을 1층과 2층 평면도에 같은 위치에 그립니다. 여기까지 진행되었다면, 이제 50%이상 평면도 작도는 끝난것입니다. 남은것은 주요실과 부속실을 그리고 옥외공간에 해당하는 마당 또는 주차장을 그리면 완성됩니다. 물론, 지문에 나와 있는 설계주안점에 해당하는 .. 2019.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