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경궁홍씨2 사도세자의 죽음 조선왕조 500년을 통틀어 아니 전 세계의 역사를 통틀어 아버지가 아들을 죽인 사건으로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비극의 역사입니다. 사도세자는 영조가 41세의 늦은 나이에 얻은 귀한 아들로 태어나자마자 원자로 책봉되었고 불과 두 살 남짓 때 세자로 책봉됩니다. 어렸을 때부터 총명했고 앞으로 조선을 다스릴 훌륭한 군왕으로 충분한 자질을 지녔던 세자(이선)는 거의 확실한 영조의 뒤를 이어 조선을 다스릴 왕재였다. 그러나 왕세자 교육을 시작한 후 세자의 태도가 조금씩 바뀌면서 학문보다는 무예나 그림과 같은 잡기에 탐닉 하게 된다. 이런 세자를 영조는 탐탁하게 보지 않았고 세자의 나이 15세 때 왕의 업무를 대신 맡아 국정을 대리로 운영하는 "대리청정"을 시작하면서 아버지인 영조와 세자는 극심한 갈등이 시작됩니.. 2020. 9. 25.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 줄거리 숙종의 아들이었던 경종과 영조는 서로 정치적 기반이 달랐습니다. 장희빈의 아들이었던 경종은 소론의 지지를 받았고, 숙빈의 아들이었던 영조는 노론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숙종의 뒤를 이은 경종은 건강이 좋지 못해 시름시름 앓다가 때마침 영조가 진상했던 감과 게장을 먹고 탈이나서 사망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영조는 제위기간 내내 경종을 독살했다는 의심에서 평생 시달리게 됩니다. 영조가 왕이되자 소론의 정치적 기반은 약해지고 노론이 등극하게 됩니다. 하지만 영조는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노론,소론 가릴것 없이 탕평책을 펼치게 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소론 출신의 궁중 내인들을 세자(사도세자)의 측근으로 삼게 됩니다. 하지만, 소론들은 세자(사도세자)의 측근에서 새로운 정치적 기반을 만들기 시작했고, 심지어 세.. 2020. 3.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