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사시험 등고선 지형조정 이해하기[3부]

by 아키텍트류 2019. 10. 1.
반응형

3부에서는 등고선 지형조정의 심화편으로 경사도로의 지형계획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일반적인 사항부터 알아보면,

https://tv.naver.com/v/10385487

 

(#3)등고선 지형조정 완전정복 끝내기[건축사시험]

건축사시험 공부방 | 1,2부를 못보신 분들은 먼저 시청하고 3부를 시청 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tv.naver.com

(1) 도로는 가능한 한 수평으로 계획한다.

(2) 경사도로의 기울기는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한다.

(3) 등고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이동에 유리하다.

(4)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좋다.

경사도로의 계획시 반영사항으로는

(1)경사도로의 조정길이나 최대허용 기울기를 결정한후에 도로를 계획한다.

(2)경사도로의 지형계획시 가급적 절토와 성토계획이 조합되도록 한다.

(3)도로의 경사조정시 주변의 등고선 레벨을 고려하여 대지에 필요 이상의 절토 및 성토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4)도로를 배치하는 경우 진입부지와 기존도로와의 높이차를 고려하여 길이 및 형태를 계획하도록 한다.

또한 옹벽의 표현에 있어서는 평면상 옹벽에 의해 잘려나간 등고선은 옹벽의 한쪽 끝에서 사라졌다가 반대쪽에서 다시 나타 난다. 지점고도는 옹벽의 위쪽과 아래쪽 고도 표현시 적용한다.

덧붙여서 옹벽 끝부분 처리에 대해서는 옹벽 끝에 있는 흙은 옹벽면을 따라 경사가 이루어지며, 토질에 따라 경사도를 유지하고 비탈면을 조성하게 됩니다. 

측벽을 설치하여 비탈면을 제거할 수도있습니다.

지형의 표현방법으로는 지형은 어느 지역의 지표면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며 산,구름,초원,계곡 및 평지등을 포함합니다. 또한 지형은 그 지역의 미관,미시기후,배수전망 및 건물의 배치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등고선은 동일한 높이의 모든 점들을 연결한 선이며, 등고선 능선 꼭대기나 계곡바닥에서 동일한 높이를 나타내는 두개의 등고선이 나란히 나타날지라도 등고선은 결코 나뉘어지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등고선의 특징으로는

(1)하나의 등고선상의 모든 점은 동일한 고도.

(2)돌출부, 동굴과 유사한 지형을 제외하고 등고선은 서로 겹치지 않는다.

(3)계곡하부, 능선상부에서 두개의 동일한 등고선이 합쳐지지 않는다.

(4)동일한 간격의 등고선은 일정한 경사면을 나타낸다.

(5)등고선 간격이 넓으면 완경사면을 나타낸다.

(6)조밀하게 그려진 등고선은 급경사면을 나타낸다.

(7)위로 올라 갈수록 등고선 간격이 넓어지면 볼록한 경사를 나타낸다.

(8)능선은 내려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등고선에 의해 나타난다.

(9)계곡은 올라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등고선에 의해 나타난다.

(10)서로 평행한 등고선은 기복이 없는 면을 나타낸다.

(11)폐곡선으로 표현된 등고선은 정상 또는 침하지이다.

(12)배수는 경사가 가장 가파른 방향의 등고선에 수직한 최단거리로 나타낸다.

이상의 이론을 모두 접목해서 아래에 있는 제가 직접 제작한 등고선 지형조정 동영상을 보면서 내용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