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사시험 / 모임지붕 간단하게 이해하기

by 아키텍트류 2019. 10. 14.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건축사시험 3교시 내용중 모임지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모임지붕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면, Heap이라고 해서 외벽 교차점에서 경사지게 올라가는 마루 같은 개념이 있고, Valley라고 해서 Heap과 같이 경사지게 올라가지만  마루가 아닌 골 같은 개념입니다.

https://tv.naver.com/v/10412177

 

모임지붕 간단하게 이해하기[건축사시험]

건축사시험 공부방 | 건축사자격시험 3교시 지붕설계중 난해한 모임지붕에 대한 내용을 알기 쉽게 작도 동영상을 제작해 보았습니다.

tv.naver.com

그리고 Ridge라고 해서 Heap과 Valley를 연결시키는 용마루같은 개념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Broken Heap이라고 해서 높이를 높게하거나, 낮게해주는 역활을 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모임지붕을 설계하기위해서는 등각의 원리가 적용됩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은 각각의 모서리는 똑같은 각도로 반씩 나뉘게 됩니다. 이것이 등각의 원리입니다.

각도자를 이용해서 45도가 되도록 가선을 그어줍니다. Heap에 해당하는 부분을 먼저 확인합니다. Valley에 해당하는 부분도 확인해 봅니다. Heap과 Heap을 먼저 이어서 삼각형 모양을 만들어 줍니다. 다음으로, Heap과 Heap이 만나는 꼭지점 부위에서 수직으로  Ridge를 가선으로 이어줍니다. 이때, 이 가선과 만나는 Valley 또는 Heap이 있으면, 연결합니다. 더이상 교차하는 선이 없을 경우 Ridge의 방향을 90도 돌려서  가선을 그려줍니다.

이때, Ridge와 새롭게 만나는 Valley를 연결합니다. 더이상 교차하는 선이 없는 관계로 Ridge의 각도를 45도 변경해서 Broken Heap을 만들기 위한 가선을 그려줍니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Ridge의 각도를 45도 변경해서 Broken Heap을 만들어 줍니다.
Broken Heap과 교차하는 Heap을 선으로 연결합니다. 이 꼭지점으로 부터 Ridge를 그리기 위한 가선을 그려봅니다. 이쪽은 다시 Broken Heap을 그려서 Ridge의 가선과 연결합니다.

마지막 이 지점도 Broken Heap을 이용해서 마무리 합니다. Ridge의 경우 90도 각도가 꺽이면, Ridge자체의 높이 변화는  없습니다. 그러나, Ridge가 45도로 꺽이면, 그 자체가 더이상 Ridge가 아니고 Broken Heap이 되면서 높이의 변화가 생깁니다.

이번에는 등각의 원리, 힙,벨리,릿지,브로큰힙의 개념을 활용해서 즉흥적으로 모임 지붕설계를 해 보겠습니다. 각도자를 이용해서 힙과 밸리를 동시에 가선으로 그려줍니다. 힙과 힙을 먼저 이어서 삼각형을 만듭니다. 릿지와 만나는 벨리를 그려줍니다. 더이상 교차하는 선분이 없으므로 브로큰힙을 사용해서 높이 차이를 만들기 위해 45도로 교차하는 가선을 그려 교차하는 선분끼리 이어줍니다.

이 부분이 가장 낮은 높이의 릿지,여기는 중간 높이 릿지, 여기가 가장 높은 릿지 이렇게 수평방향의 릿지는 3부분의 높이 차이가 각각 있습니다.

다음은 힙 부분입니다. 그리고 수직방향의 릿지입니다. 그리고 높이 차이가 있는 각각의 릿지를 연결시켜주는것이  바로 브로큰힙입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루정도만 연습하면 모임지붕은 완전히 정복할수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