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탑다운 공법의 특징
1)단위 건축물의 전체 평면을 1층 바닥 시공 이후 지상층과 지하층 골조 공사를 동시에 진행
2)공기 단축 및 굴토공사의 안정성 확보가 가능
3)지상층과 지하층 공기가 비슷할 경우 공기단축 효과 최대
2. 탑다운 공법 시공 순서
1)외벽 시공 : 슬러리월, SCW(Soil Cement Wall), H-Pile/토류판을 이용해서 외벽 구축
2) 기초 및 지하 철골기둥공사 : RCD기초, 베네토기초, PRD기초등을 활용해서 기초 및 지하 철골기둥을 구축한다.
3) 1층 바닥 골조공사 :
4)토공사 및 지하/지상 골조공사 :
3. 탑다운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1)심층, 연약지반의 지하공사인 경우
스트럿 공법 | 스트럿재의 압축력에 의한 변형, 해체시 흙막이벽의 변형 발생으로 인해 불리 |
어스 앵커 공법 | 인접대지의 상황에 따라 시공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탑다운 공법 | 강성이 크고 변형이 작으며, 해체가 필요없는 구조물이 버팀대 역할을 할 수 있음 따라서 주변의 변형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 |
2)흙막이벽의 강성이 부족할 경우
- 민원 또는 스트럿 길이 60m이상 또는 스트럿 공법 적용이 불가할 경우
3)굴토평면이 부정형일 경우
- 굴토 평면이 부정형일 경우 토압균형이 맞지 않고 스트럿도 직각으로 교차하지 않는 개소가 많아 불안정 요소가 증가해 흙막이 벽이 이동하는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
반응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ng Form 갱폼이란? (0) | 2022.10.05 |
---|---|
거푸집 존치기간 (0) | 2022.09.27 |
Soil Nailing 흙막이 공법 [소일 네일링 공법] (0) | 2022.09.27 |
CIP공법 (1) | 2022.09.25 |
평판재하시험 방법 (0) | 2022.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