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외부 벽체 거푸집 설치, 해체 및 미장, 면손보기 작업을 위한 케이지를 일체로 제작하는 대형 거푸집을 의미함. 타워 크레인으로 인양, 타워크레인 반지름 밖에는 데릭을 사용해서 인양함.
제작시 고려사항으로는 층고, 외벽마감 종류, 공정 등을 고려해서 작업 발판의 단수를 결정해야 하며, 타워크레인 기종, 위치 및 건축물 평면을 고려해서 갱폼 나누기를 결정한다. 안전난간, 사다리, 작업발판, 코너부 마무리 등의 안전성을 검토해서 구조계산을 통해 주요부재의 규격을 결정한다ㅣ.
구 분 | 부재 확인사항 |
측압에 의한 휨/처짐 검토 | 철판, 수직/수평 보간재, Tie-Bar의 규격 및 간격 |
갱폼의 지지력 | 매립 전단 볼트의 규격 및 간격 |
갱폼의 인양 | 갱폼 인양용 고리 고정 설계 |
*인양시기
전단볼트 매립 위치 및 벽체 두께 | 인양 가능 콘크리트 강도 | |
슬래브에 매립한 경우 | 6.7N/mm2 이상 | |
벽체에 매립한 경우 | 벽체 두께 120mm | 8.3N/mm2 이상 |
벽체 두께 180mm | 5.6N/mm2 이상 |
*Self Climbing System
구분 | ACS 50/100(PERI) | SKE 50/100(DOKA) |
조닝방식 | 부분 방식 | 전체 조닝 방식 |
앵커위치 | 타설층 1개층 아래 | 타설층 1개층 또는 2개층 아래 |
인양시 앵커층 콘크리트 강도 | 10N/mm2이상 | 10N/mm2이상 |
클라이밍 방식 및 속도 | 유압기 1대로 8개 실린더 작동 한 번에 300mm씩 상승/구분하여 상승 120M 기준 전체 3시간 |
유압기 1대로 24개 실린더 작동 한 번에 80mm씩 상승/가급적 전체 120M 기준 전체 2시간 |
허용풍속 | 35m/sec | 35m/sec |
적용가능 부위(최소치수) | 기둥 또는 250mm이상 옹벽 | 기둥 또는 250mm이상 옹벽, 외곽 보(200*250이상) |
*시공시 고려사항(갱폼시공계획서)
1. 인양시 앵커층 콘크리트 강도가 10N/mm2 이상이어야 하므로 초기 콘크리트 강도가 필요
2.초기 셋팅 시간이 많이 걸리고 현장 조립장이 필요함(셀프 시스템: 15일, 레일 시스템: 10일, 갱폼: 10일)
3.자재 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음(동시에 여러 현장 적용으로 인한 여유 장비가 부족한 경우)
반응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잭서포트 제원 및 설치기준(Jack Support 지지하중) (0) | 2022.10.06 |
---|---|
콘크리트 혼화재와 혼화제 (0) | 2022.10.06 |
거푸집 존치기간 (0) | 2022.09.27 |
탑다운 공법 시공 순서(Top Down) (1) | 2022.09.27 |
Soil Nailing 흙막이 공법 [소일 네일링 공법] (0) | 2022.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