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물의 피난 및 방화기준

by 아키텍트류 2024. 11. 26.
반응형

피난과 방화 기준은 건축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반드시 준수해야 할 중요 요소이다. 이 기준을 이해하고 준수하는 것은 건축 설계와 시공 단계에서 필수적이며, 특히 평면 변경이 있을 때 피난 및 방화 관련 법규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피난은 화재나 기타 비상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축물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핵심이다. 방화구획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건축물 내부의 공간 구획 방식으로, 이를 통해 건물 내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피난과 관련하여 중요한 기준 중 하나는 보행거리다. 보행거리는 건축물 내부의 거실 각 부분에서 가장 가까운 피난 계단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 거리는 법적으로 제한된다. 일반적인 기준은 30m 이내이며,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이거나 불연재료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대 50m까지 허용된다. 그러나 16층 이상의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공동주택의 경우 보행거리는 40m 이내로 제한된다. 이는 화재 시 피난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도록 설계된 규정으로, 보행거리 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건축 설계 단계에서 철저히 검토해야 한다.

 

방화구획은 화재가 건축물 내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주요 구조부를 구획하는 것을 뜻한다. 방화구획 대상은 연면적이 1,000㎡ 이상인 건축물로,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방화구획은 면적별 구획과 층별 구획으로 구분된다. 면적별 구획은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구획 면적을 제한하며, 층별 구획은 지하층과 3층 이상의 모든 층에서 층마다 구획을 적용하도록 규정한다. 특히 지하층은 화재 시 연기가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층마다 철저히 방화구획을 실시해야 한다.

 

방화문은 방화구획의 중요한 요소로,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방화문은 방화성능에 따라 갑종과 을종으로 분류된다. 갑종 방화문은 내부 화재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며, 비차열 기준으로 1시간 이상 화재를 견딜 수 있는 성능을 요구한다. 반면, 을종 방화문은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비차열 기준으로 30분 이상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방화문은 설치 시 방화구획선의 위치를 철저히 검토하여 발주해야 하며, 방화문과 일반문을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방화문은 상시 개방형과 폐쇄형으로 나뉘며, 상시 개방형 방화문은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닫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소방검사 시 연동 테스트를 실시하여 성능을 확인해야 한다.

피난층은 피난을 위해 직접 지상으로 연결되는 출입구가 있는 층을 의미한다. 주의할 점은 옥상은 피난층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피난층을 설계할 때는 반드시 법적 기준에 따라 출입구를 설치하고, 피난 경로가 명확히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 직통계단은 피난 경로의 중요한 요소로, 계단과 계단참이 끊김 없이 연결된 구조를 가리킨다. 이러한 직통계단은 화재 발생 시 피난 동선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방화구획 면적에 대한 규정은 스프링클러 등의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자동식 소화설비가 설치된 경우, 방화구획 면적은 일반적인 기준의 3배까지 확대될 수 있다. 이는 소화설비가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적용되는 규정으로, 소화설비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유지·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축법시행령 제34조와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0조는 피난과 방화 기준을 규정하는 주요 법적 근거이다. 이러한 규정을 준수하지 않으면 건축 허가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화재 시 치명적인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설계와 시공 단계에서 관련 법규를 철저히 검토하고, 피난과 방화 기준이 적절히 반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피난과 방화 기준은 화재 발생 시 건축물의 안전성과 이용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필수 요소다. 건축 과정에서 이를 철저히 이해하고 반영함으로써,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면 변경 시에도 관련 법규를 재검토하며, 피난 및 방화구획 설계가 적합한지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