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사자격시험 / 코아 위치 찾기 실전 문제 도전(2017년 기출문제 풀이 포함)

by 아키텍트류 2019. 12. 17.
반응형

건축사자격시험 2교시 평면계획에서 "코아(Core)를 선정하는 6가지 요소"에 대해서 앞 시간에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2017년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서 상기 이론을 검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https://tv.naver.com/v/11482022

 

평면계획에서 코아(Core)의 위치를 선정하는 6가지 요소[건축사자격시험]

건축사시험 공부방 | 건축사자격시험 2교시 평면계획에서 코아 위치 선정 6요소입니다. 블로그(학습방) : https://ssgyoo.tistory.com/71 (많은 방문 부탁드립니다)

tv.naver.com

일단, 평면 문제를 풀기위해서는 토지이용계획을 통한 효율적인 계획을 해야 합니다.  그 첫단계로 단순이격거리에 해당하는 1.5m이상을 대지 경계선으로 부터 이격합니다.

다음으로 진행할 사항으로는 지문에서 제시한 1층과 2층의 계획 면적을 이용해서 건물 전체의 규모를 파악합니다. 일반적으로 제시된 계획 면적을 50으로 나누어서 스판의 규모와 갯수를 산정합니다.

토지이용계획을 하기 위한 스판을 나누는 방법은 스케일에 미리 6.5m와 7.5m를 표시해 놓고, 직접 스케일을 계획대지에 견주어 보면서 적절한 스판을 나누는 작업을 하면 편리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단변부에는 6.5m로 스판을 나누고, 장변부는 7.5m로 스판을 나눈것이 무난합니다.

1층과 2층 모두 50모듈이 되도록 기본적인 스판을 나눕니다.

2016년도 기출문제의 경우 코아의 위치를 잡는 방법이 지하층에서 코아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해서 풀이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왜냐하면, 지문에 지하층의 층고 및 주차대수를 제시하였기 때문에 코아의 위치를 선정하는데, 강력한 힌트 요소가 되기 때문입니다.

지하층 진입 레벨 및 지하층 층고를 고려해서 램프의 길이를 산정하고, 차로와 주차계획을 통해서 지문에서 제시된 총9대의  주차계획을 제시된 토지이용계획과 비교해 보면,  위 그림과 같이 코아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유추해 볼 수있습니다.

지하 주차장 계획을 통해서 개략적으로 유추된 코아의 위치는 다시, 지상 1층과 2층에서 전반적으로 검토를 통해서 지하에서 계획한 코아의 위치가 맞는지를 반드시 재확인 해보아야 합니다.

반드시, 지하에서 코아의 위치에 대한 강력한 힌트를 이용해서 위치를 선정하였다 하더라고, 1층과 2층의 조닝 및 동선의 검토를 통해서 적절한 코아의 위치인지를 재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코아의 위치를 선정하는 6가지 요소를 모두 사용해서 절적한 코아의 위치를 마무리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