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시험 1교시 지형조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1교시 배치계획문제에 포함된 지형조정의 경우 지형조정의 이론만으로 풀이하기 난해한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적인 지형조정 이론 만으로 배치계획에 포함된 지형조정을 쉽게 하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어느정도 연습이 숙련되지 않고는 짧은 시간안에 지형조정을 완벽하게 하기는 어려운것이 현실입니다. 배치계획에 포함된 지형조정 문제의 경우 단계적으로 풀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지형을 염두해 두고 배치를 푼다는 것은 어쩌면 어불성설일 수도 있습니다. 경사지형이라고 해서 배치의 기본적인 이론이 바뀌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배치의 기본인 영역별 조닝과 동선의 명확한 분리가 우선 선행되어야 합니다.
위와 같이 기본적인 배치계획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주진입도로를 기준으로
경사도에 맞게 등고선 라인을 구획해서 주차장의 진입레벨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진입도로와 주차장과의 관계를 고려해서 건물과 주차장의 이용성을 고려해서 주차장과 건물의 진입레벨을 결정해야 합니다. 위 문제의 경우 +302 레벨을 기준으로 행정동의 1층 진입레벨과 주차장의 레벨을 결정합니다.
기준으로 설정한 +302레벨을 기준으로 주차장과 행정동으로 진입하는 보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등고선 레벨조정을 실시합니다. 이때 주의해야할 점은 주차장 옆에 있는 체력단련장의 레벨은 스텐드를 설치해야 함으로 두개의 레벨이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서 등고선 조정을 해야합니다.
행정동의 경우 후면에서 진입은 2층에서 이루어 지는것이 지문조건임으로 층고 3M를 고려하면 진입레벨이 +305가 되어야 합니다.
행정동 후면쪽 진입레벨인 +305를 반영하여 지형조정을 완료하면 위 사진과 같이 이루어짐을 알수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기준등고선에 해당하는 +302레벨의 등고선 라인을 파란색으로 표시해 보았습니다. 이것이 전체 경사지형에서 아래쪽의 기준이 되는 등고선 라인입니다.
위쪽에서 가장 중요한 +305레벨의 등고선 라인을 붉은색으로 표시해 보았습니다. 이것이 전체 경사지형에서 위쪽의 기준이 되는 등고선 라인입니다. 이렇듯이 경사지 지형계획의 경우 위에 한판, 아래쪾에 한판 이렇게 2개의 판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기준등고선 2개만 잘 찾아내면 등고선 지형계획은 비교적 쉽게 마무리할 수있습니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사시험 에서 코아(Core)위치를 선정하는 6가지 요소 (2) | 2019.12.14 |
---|---|
[건축사자격시험]분석 조닝 프로세스를 적용한 기출문제풀이(2013년도) (8) | 2019.12.10 |
계단 단면작도 뿌리 뽑기[건축사자격시험] (3) | 2019.12.05 |
건축사시험에 필요한 건축법 9가지 (4) | 2019.12.05 |
건축사자격시험 배치계획#5(새로운 계획법, 트레이싱지2장계획법) (2) | 2019.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