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자격시험 1교시 배치계획중 지형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도면다운로드:
건축사시험에서 지형계획이 어려운 이유는 이론 자체는 단순 하지만, 응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특히, 복합지형조정(건축물,외부공간,도로 등)의 형태로 출제 되면, 난의도는 급상승하게 됩니다.
출제경향을 분석해 보면,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지형계획이 단독 소과제로 출제되었고, 지형계획의 난의도는 높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06년 1회 및 2회의 경우 지형계획 문제는 배치계획에 통합되어서 문제의 난의도는 급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2007년 이후에는 배수로를 적용하지 않는 형태 및 부분적으로 옹벽을 활용하는 문제가 출제되면서 실무형에 가까운 지형계획 문제가 총 7회(2007년,2009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6년)출제되었고, 2017년과 2018년은 지형계획이 포함된 배치계획문제는 출제되지 않다가 2019년도에 다시 지형계획이 출제되었습니다.
2020년에도 지형계획이 포함된 배치계획 문제가 계속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되는 바 철저한 준비 및 학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형계획의 PROCESS구축
지형조정의 이론은 비교적 단순하지만 배치계획에 적용되는 복합지형조정은 다소 복잡하고, 많은 응용력이 필요합니다.
지형조정의 시작은 내부 도로의 경사도를 이용해서 착안점을 얻고, 건물 및 옥외공간이 위치한 레벨의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레벨값을 참고해서 지형조정의 최소화와 도로에서 해당 시설로의 진입 등이 합리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제한된 시간내에 배치계획과 지형조정을 완벽하게 완료하가 힘든 경우 "최소한 시험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요건"에 해당하는 "내부도로 경사도 활용과 건물/옥외공간 진입레벨 검토 단계"까지는 반드시 완벽하게 완료해야 소정의 점수를 획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동영상과 첨부도면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모듈vs이형모듈 [건축사자격시험](2015년 기출문제풀이포함)#2 (1) | 2020.01.11 |
---|---|
건축사자격시험 모듈(Module)이란 무엇인가?[건축사시험 2015년 기출문제풀이포함]#1 (2) | 2020.01.10 |
건축사자격시험 배치계획풀이/도면작도(2019년도 기출문제)#4 (0) | 2020.01.08 |
건축사자격시험 배치계획풀이/트레이싱지 계획법(2019년도 기출문제)#3 (2) | 2020.01.07 |
건축사자격시험 배치계획 풀이(2019년도 기출문제)#2 (9) | 2020.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