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형조정7

지형조정 쉽게하기(2020년도 기출문제 예시) 건축사자격시험 과목 중 아마도 가장 어려운 과목은 1교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유는 2과목을 제한된 시간 내에 풀어야 하는 심리적 압박감과 더불어 배치계획에 수반되는 지형 조정이라는 기술적 내용 때문입니다. 물론 시간이 충분히 주어진다면 못할 것도 없지만 문제는 제한된 3시간 내에 분석 조닝과 배치계획을 동시에 풀어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지형 조정의 이론은 단순하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적용은 상당히 난의도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학원이나 독학으로 지형 조정을 공부할 때 기본적인 이론인 절. 성토의 균형, 등고선의 조정방법 등 기초적인 내용만 공부하고 그 응용이나 실제 시험과 같이 다양한 건축물, 옥외시설, 도로 등의 복합문제에 대해서는 거의 연습을 하지 않는 데 있습니다. 그렇다고 지형을 고려해.. 2020. 10. 10.
고난의도 배치계획 기출문제 풀이(건축사자격시험 2006년 2회 기출문제풀이) 2006년 2회 건축사자격시험으로 출제되었던 고난의도 배치계획 문제풀이 입니다. 2006년 1회 보다는 난의도가 높지 않지만 나름 어려웠던 문제였습니다. 특히, 부정형의 대지에 건축물과 시설물을 배치하는 문제로 작도와 지형 조정이 특히 까다로웠던 문제였습니다. 아쉽게 지형조정을 실수해서 다소 아쉽게 풀이를 했지만, 실수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운다는 생각으로 참고삼아 봐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강의-1 : https://youtu.be/3kEnG57C6IA *동영상강의-2 : https://youtu.be/YTcpiJhp3sw *동영상강의-3 : http://youtu.be/wZbmNDHx-NI *완성답안(지형조정은 일부 실수한 부분이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 4. 24.
건축사자격시험 배치계획풀이/지형계획(2019년도 기출문제)#5 건축사자격시험 1교시 배치계획중 지형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도면다운로드: 건축사시험에서 지형계획이 어려운 이유는 이론 자체는 단순 하지만, 응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특히, 복합지형조정(건축물,외부공간,도로 등)의 형태로 출제 되면, 난의도는 급상승하게 됩니다. 출제경향을 분석해 보면,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지형계획이 단독 소과제로 출제되었고, 지형계획의 난의도는 높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06년 1회 및 2회의 경우 지형계획 문제는 배치계획에 통합되어서 문제의 난의도는 급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2007년 이후에는 배수로를 적용하지 않는 형태 및 부분적으로 옹벽을 활용하는 문제가 출제되면서 실무형에 가까운 지형계획 문제가 총 7회(2007년,2009년,2011년,2012년,2013년,2.. 2020. 1. 9.
[건축사자격시험] 복합 지형조정 (2016년 배치계획 기출문제) 건축사시험 1교시 지형조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1교시 배치계획문제에 포함된 지형조정의 경우 지형조정의 이론만으로 풀이하기 난해한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적인 지형조정 이론 만으로 배치계획에 포함된 지형조정을 쉽게 하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어느정도 연습이 숙련되지 않고는 짧은 시간안에 지형조정을 완벽하게 하기는 어려운것이 현실입니다. 배치계획에 포함된 지형조정 문제의 경우 단계적으로 풀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지형을 염두해 두고 배치를 푼다는 것은 어쩌면 어불성설일 수도 있습니다. 경사지형이라고 해서 배치의 기본적인 이론이 바뀌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배치의 기본인 영역별 조닝과 동선의 명확한 분리가 우선 선행되어야 합니다. 위와 같이 기본적인 배치계획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주진.. 2019. 12. 7.
건축사시험 등고선 지형조정 이해하기[3부] 3부에서는 등고선 지형조정의 심화편으로 경사도로의 지형계획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일반적인 사항부터 알아보면, https://tv.naver.com/v/10385487 (#3)등고선 지형조정 완전정복 끝내기[건축사시험] 건축사시험 공부방 | 1,2부를 못보신 분들은 먼저 시청하고 3부를 시청 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tv.naver.com (1) 도로는 가능한 한 수평으로 계획한다. (2) 경사도로의 기울기는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한다. (3) 등고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이동에 유리하다. (4)계곡이나 하천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좋다. 경사도로의 계획시 반영사항으로는 (1)경사도로의 조정길이나 최대허용 기울기를 결정한후에 도로를 계획한다. (2)경사도로의 지형계획시 가급적 절토와 성토계획이 조합.. 2019. 10. 1.
건축사시험 등고선 지형조정 이해하기[2부] 건축사시험 1교시 소과제중 하나인 지형조정에 대한 내용 후면 배수로가 없는 경우 등고선 지형조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https://tv.naver.com/v/10385472 (#2)등고선 지형조정 조금 더 알아보자[건축사시험] 건축사시험 공부방 | 1부를 못 보신 분들은 반드시 먼저 시청하시고 2부를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tv.naver.com *지형의 참고사항* (1)해발 흔히 산의 높이를 해발로 부릅니다. 바다로 부터의 높이라는 뜻으로 특정 바다를 기준하여 해발을 정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인천 앞바다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국토의 모든 높이를 측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2)수준원점 1963년 이후 인하대학교 후문 남동쪽 항공기가 전시된 공터에 원통형의 시설물 가운데 설치하고 수준기점을 기준으로 정.. 2019.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