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리뷰

총균쇠 줄거리

by 아키텍트류 2022. 10. 19.
반응형

총균쇠 줄거리의 핵심은 저자이 제러드 다이아몬드에게 파푸아뉴기니인이 했던 질문 "당신네 백인들은 왜 그렇게 많은 것을 발명, 개발해서 뉴기니로 가져올 수 있었고, 우리 흑인들은 왜 그런 것을 만들 수 없느냐?"에 대한 이야기를 설명하는 책이라 할 수있습니다.

수천년전 로마제국이 문화를 꽃피울때 왜? 아메리카 인디언은 원시적인 삶에서 벗어나지 못했을까? 심지어 아프리카 대륙은 다른 대륙보다 무려 500만년이나 먼저 인류가 번성했지만 왜? 인류역사의 주인공은 아프리카 흑인들이 아니라 유럽의 백인인것일까?

이 질문은 놀랍게도 서양 세계가 오랫동안 해왔던 질문이었습니다. 그러나 누구도 이렇다할 대답을 내 놓진 못했죠, 선천적으로 또는 유전적으로 백인이 다른 인종에 비해 우월하다는 증명을 위해 오랜 연구를 했지만 속시원한 해답을 내놓진 못했습니다.

"총,균,쇠"는 문명간 불평등에 대한 내용을 방대한 역사와 문명에 대한 이야기로 무기, 병균, 금속이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에 관해 "총,균,쇠" 저자 재래드 다이아몬드가 1977년 발표한 작품입니다.

이 책은 인류가 시작하고 함께 시작했는데, 왜? 특정 지역의 사람들은 가난과 빈곤을 면치 못하고 반면 다른 지역의 사람들은 넉넉한 삶을 살게 되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갖고 시작하게 됩니다.

특히 왜 구대륙에서만 문명이 먼저 발달하고 신대륙을 비롯한 그 이외의 지역에서는 일정 수준 이상 문명이 발달하지 못했는지에 대해 세밀한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그 이유를 문화인류학적, 지리적 접근을 통해 설명합니다. 일부에선 그의 주장에 대해 너무 편협한 시각 또는 특정 인종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 아니냐는 비판도 있습니다.

1972년 오스트리아 뉴기니에서 새의 진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던 저자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어느날 "얄라"라는 흑인 정치가와 대화를 하게 됩니다. "얄라"는 새의 진화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저자는 수백만년에 걸친 새의 진화를 설명해 줍니다. 이야기를 모두 듣고 난 "얄라"는 왜 우리 흑인은 어떻게 이곳 뉴기니에 오게된 것인가요? 그리고 유럽에 살던 백인들은 어떻게 뉴기니까지 왔고, 이곳을 식만지로 만들게 된것인가요?

저자는 이 질문에 대해 뉴기니는 유럽의 백인들이 도착하기 전까지는 매우 낙후된 삶을 살고 있었다 라고 대답해줍니다. 백인들이 의복,금속,약품 등을 가지고 들어와 문명을 전달했다고 말하자 "얄리"는 백인들은 어떻게 그런 물건들을 만들 수 있었는지 묻게됩니다. 그러고 그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 이 책의 전체 내용에 해당합니다.

모든 것은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이것은 랜덤이라는 것입니다. 구대륙은 지리적으로 농경을 하기에 수월했고,다른 곳은 구대륙에 비해 농사가 힘들었습니다. 농경을 시작하면서 가축을 키우게 되었고 가축의 힘을 빌려 더욱 많은 양의 농작물이 생산됩니다. 결국 남은 생산물이 생겨나면서 지배층이 생겨나기 사작하고 결국엔 국가까지 형성됩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국가가 형성되면 활발한 정복 활동이 시작되고 필연적으로 전쟁이 발생합니다. 즉, 구대륙 사람들은 자신의 터전을 벗어나 다른 곳으로 이동합니다. 특히 1492년 스페인 항구를 출발했던 콜럼버스는 아직 발전을 이룩하지 못했던 신대륙 원주민을 만나게 됩니다.

오랜 기간 가축을 키우며 살아온 구대륙 사람들은 이미 다양하고 색다른 질병에 충분히 면역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신대륙 원주민들은 불행히도 면역력이 없었습니다. 결국 병이 돌기 시작하면서 스스로 자멸하게 됩니다. 이렇게 발전된 문명과 면역력으로 신대륙은 구대륙 인류에 의해서 정복됩니다.

약1만년전 일부의 무리들이 농사를 짓기 시작합니다. 농작물이 자라기에 좋은 지역에 살았던 행운 덕분입니다. 결국 농경사회가 시작하면서 도시가 탄생하고 결국 산업화 사회를 맞이하게 됩니다. "어떤 특정한 문명을 만든다는 것은 인간의 창의력이나 지능의 문제가 아닌 필요와 기회 때문이다" 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특정한 조건은 가능성을 만들었고, 그 가능성을 바탕으로 발전한 것이 문명입니다. 필요와 기회를 좀 더 살펴보면 수렵이나 채집을 하며 이동 생활을 하던 무리가 정착하기 위해선 농사를 지을 필요가 있었고 농사를 지으려면 쉽게 상하지 않는 작물들이 필요했습니다. 또한 농사에 도움을 줄 수있는 튼튼한 동물들도 필요했습니다. 또한 그 동물들과 살 수있는 조건 또한 필요했습니다.

 

이 모든 필요조건이 충족되면 농경은 크게 확장될 수있고, 토양과 기후는 바로 이런 필요들에 어울리는 기회가 됩니다. 이를 통해 인류는 풍족한 먹을거리를 바탕으로 급격한 인구가 증가되고 다양한 기술발전과 인구 증가는 지배의 필요로 이어져 그 결과 국가가 탄생하게됩니다. 이와 같이 필요와 기회로 인해 구대륙, 다시 말해 유럽과 아시아는 문명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고 설명합니다.

총균쇠가 주목받은 이유는 그동안 백인의 우월함을 강조하던 주장들을 환경의 차이로 설명했다는 점입니다. 우월과 열등은 모두 허상이라는 말과 같습니다. 책에 담겨 있는 역사 속에서의 정복과 지배, 그리고 산업화와 문명화 등을 바라보면 조금은 혼란스럽습니다. 하지만 신대륙의 원주민들은 자신의 삶의 터전을 빼앗기고 그곳을 구대륙 사람들이 정복하고 식민지로 만들고 이런 역사에 대한 설명은 유럽과 아시아의 문명 발달에 대한 설명에서 종교와 사상으로 인한 발전에도 좀 더 연구가 되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총,균,쇠가 문명화 과정을 지리학적으로 동물학과 생물학 그리고 인류학적으로 풀어가면서 인간 역사의 폭넓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상당히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집필된 작품이란 것을 알게됩니다. 이 작품이 상당히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발간되었고 많은 지식도 포함하고 있지만 일부 비판을 받는 이유는 모든 것을 환경의 탓으로 돌린다는 것입니다. 인류문명 발전의 한 요소로 조금 다양한 시각을 취했다면 좋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인간의 역사를 어떤 독립된 하나의 학문으로 설명하기엔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여기까지 총균쇠 줄거리 및 총균쇠 요약이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