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세이건 코스모스 줄거리입니다.
이 책은 진화생물학, 역사학, 기후학 등 천문학을 넘어선 방대한 칼 세이건의 지적 세계를 포함한 과학서적 최고의 베스트셀러임에 틀림없습니다. 단순히 처음엔 천문학 이야기 별이야기가 주제라고 책의 첫 페이지를 열지만 금세 이 책은 인문학 책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깨닫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가 우리에게 주는 큰 깨달음은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입니다. 이 것이 이 책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줄거리입니다.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선 엄청난 우연속에 우주 속에 떠다니는 물질이 지구상의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이 되고 인간이라는 종으로 진화하는 진화생물학적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코스모스는 분명 천문학 책이기 때문에 천문학으로 설명할 것이란 기대와는 다르게 이 책에서는 천문학과 진화생물학이라는 그 당시엔 시도하지 않았던 기발한 방식으로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를 설명합니다.
"우리는 누구인가" 이 질문에 대해 우리 인간은 점차 세계와 우주를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좀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인식하게 되는 존재로 점점 진화해온 존재입니다. 따라서 우리 인간이 동굴 속에서 살던 원시인 수준에서 외계 행성과 우주를 향해 우주선을 보낼 수 있는 수준으로 성장하게 된 진화의 과정을 통해 우리 인류가 하늘과 우주의 원리를 발견하고 깨우쳐나가는 과정을 통해 우리는 누구인가를 알 수 있는 존재로 성장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우주를 알면 알수록 경외감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는 우주의 크기에 비하면 티끌만 한 존재도 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이 질문에 대해 우리 지구이외에 외계에는 또 다른 지적 생명체가 살 것이고 먼 미래에는 그 지적 생명체와 반드시 만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우리가 만약 지구의 환경을 잘 보전하지 못하고 오염시켜 지구를 멸망시킨다면 우리는 다른 행성으로 터전을 옮겨야 할지도 모른다고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요즘 많은 SF소설이나 SF영화에서 시도하는 방식들이 황폐화된 지구를 떠나 외계의 식민행성을 찾아 나서거나 외계 지적 생명체와 소통에 대한 내용이 많은 것을 보면 칼 세이건의 상상력은 대단하다고 밖에 볼 수 없을 듯 합니다.
칼세이건은 1934년 재단사였던 아버지와 가정주부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미국 뉴욕주 브루클린에서 태어나 어릴때 부터 별에 대한 상상과 화성에 대한 소설을 읽으며 외계 생명체에 대한 상상에 빠져있던 소년이었다. 1951년 시카고 대학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고, 1959년 금성 탐사선 매리너호 계획으로 NASA에 들어가 1963년 하버드대학의 천문학 강사가 된다.
1968년 코넬대학 정교수로 옮기면서 1969년 아폴로 11호 발사에 관여했고 소행성대 및 목성을 탐사하고 인류 최초로 태양계를 벗어난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 계획에 관여한다. 1980년 첫 방송된 칼세이건의 과학다큐멘터리 13부작 "코스모스"는 전 세계 60개국에서 6억 명 이상의 시청자가 시청함으로써 역사상 가장 높은 TV시청률 기록을 갖게 된다. 1994년 골수이형성증 진단을 받고 결국 1996년 12월20일 62세의 나이로 사망하게 된다.
'북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재규 장군 평전 줄거리[10.26사태] (0) | 2023.01.09 |
---|---|
단테의 신곡 줄거리 (0) | 2023.01.09 |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쉽게 이해하기 (0) | 2023.01.09 |
오즈의 마법사 줄거리 (0) | 2023.01.09 |
밀리터리 세계사 [토크멘터리 전쟁사 이세환 기자]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