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2부)건축사 자격시험 글씨 잘쓰는법[건축사시험]

by 아키텍트류 2019. 9. 27.
반응형

건축 제도 글씨 중 영어 및 숫자에 대하여 건축가 답게 쓰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영어의 경우 한글과 비교해서 자음과 모음의 결합된 형태도 받침도 없기 때문에 조금만 연습하시면 좋은 글씨체를 익힐 수 있습니다.

연습방법은 1부 한글 쓰는법에서 설명 드린것 처럼 첫째 천천히 시간과 정성을 들여서 최대한 정자 형태 될 수 있다면 정사각형의 모양을 이미지화 하면서 글씨를 그린다는 느낌으로 연습을 하시면 좋을 결과를 가질 수있습니다.

아라비아 숫자의 경우는 더욱 간단해서 한번에 쓰려고 하지만 않는 다면 미려한 건축가 다운 글씨체를 가질 수있습니다. 또한, 숫자의 경우 대부분 형태가 일정하고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연습을 많이 해두면 좋습니다.

역시 영어와 숫자도 마찬가지로 어느정도 형태가 갖추어지면 자를 사용해서 수직부분의 획이 정확히 수직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손으로 글씨를 쓰면, 수평부분의 획은 어느정도 정확하게 수평으로 글씨의 획을 그릴 수 있지만 수직 부분은 기울어지거나 중간에서 끊기는 등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자를 사용해서 정확하게 수직의 획을 그리는 연습을 계속 한다면, 어느정도 정돈된 형태를 갖춘 건축가 다운 영어 및 숫자의 아름다운 글씨체를 가질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는 1부 한글의 경우와 같이 자의 도움을 받아 써오던 글씨들의 수를 점점 줄여가는 단계입니다. 계속 연습을 하다 보면, 익숙해지는 글자가 많이 생기지만, 여전히 어려운 글자들도 계속 발견하게 됩니다. 익숙해진 글자의 경우 이번에는 자의 도움없이 써보는 노력 또한 필요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낯설고 어려운 글씨의 경우 완전히 극복될 때까지 계속해서 자의 도움을 받아서 연습하면, 빠른시간내에 자의 도움 없이도 건축가다운 아름다운 영어와 숫자를 쓸 수있게 됩니다.

마지막 단계는 자의 도움 없이 모든 영어 와 숫자들을 빠른 속도로 쓸 수 있는 단계에 도전해야 합니다. 물론, 어느정도 익숙해져 있는 상태에서 글씨를 쓰는 속도를 계속 장기간 빠르게 유지 하면 다시 원래의 습관으로 되돌아와서 글씨가 다시 건축가답지 못한 상태로 되돌아 오곤 합니다. 이럴 경우 다시 자를 사용해서 교정의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습관은 고치기 힘든 것이기 때문에 수십년간 본인이 가지고 있었던 습관을 단기간내에 인위적으로 바꾸었다 하여도 다시 예전의 스타일로 되돌아 가는것은 흔한 일입니다.

계속해서 피드백(feed back) 하면서 의식적으로 자신의 글씨쓰는 형태가 건축가다운 글씨체를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자를 이용해서 흐트러진 글씨체를 교정하고 또다시 교정하는 방법이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제가 직접 제작한 건축가다운 글씨기 동영상을 보시면서 계속 연습하시면 반드시 좋은 글씨체를 유지할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제가 직접 제작한 건축가다운 글씨기 동영상을 보시면서 계속 연습하시면 반드시 좋은 글씨체를 유지할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