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인슈타인2

특수 상대성이론 (2가지 핵심사항) 특수상대성이론은 심오한 두 개의 가설을 내포하고 있다. 첫 번째는 빛의 성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 가설은 어떤 특정한 물리 법칙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물리 법칙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상대성 원리(Principle of relativity)란 이름으로 불린다. 어떤 물체의 속도를 논할 때 그 속도를 측정하고 있는 관찰자의 운동 상태까지 정확하게 명시해야 한다. 이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A라는 한 우주선의 승무원이 우주공간에서 유영을 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그의 근처에 행성이나 별, 은하 등의 천체가 전혀 없는 완전한 암흑 속에서 공간 속을 떠다니고 있다. 만약, A가 푸른빛을 내는 손전등이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A의 입장에서 볼 때, 그는 암흑의 우주 속에서 완전히.. 2020. 6. 14.
양자역학이란(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 아인슈타인이 양자역학을 극도로 혐오했고 부정했다는 사실은 과학사에서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특히, 양자역학이 "확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물리학과 분명하게 구분되었기 때문입니다. 브라이언 그린의 우주의 구조(The fabric of the cosmos)에 양자역학에 대한 재미있는 내용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양자역학에서 설명하는 미시세계의 실체와 거시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경험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의외의 사건들이 시도 때도 없이 발생하고 있지만, 물리학의 시각에서 보면 나름 안정성과 신뢰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원자적 규모에서 볼 때 우리가 거시적으로 보게 되는 현상, 예를 들면 달을 현재 우리가 눈으로.. 2020.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