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건축사자격시험 주차계획 이론 및 응용[2015년 평면기출문제 작도 #5]

by 아키텍트류 2020. 1. 18.
반응형

건축사자격시험 주차계획에 대해서 기본적인 이론 과 1교시 배치계획과 2교시 평면설계에서 적용되는 배치계획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결국, 건축사시험 1교시 배치계획에서 다루는 주차계획과 2교시 평면설계에서 다루는 주차계획은 다름을 인식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2교시 평면설계에 출제되는 주차방식은 좀 더 정밀하고 세밀하며, 응용이 필요한 주차 계획 능력이 필요하다. 보통 옥외공간인 주차장의 위치를 먼저 선정하고 주차계획까지 마무리하게 되면 건축물의 형태 및 규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기때문에,

계획단계에서는 개략적인 주차장의 위치와 규모만 확인하고, 건물위주로 계획 후 남는 공간에 주차장을 계획하는 것이 올바른 계획방법이라고 볼 수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차장 형태의 디테일한 변형형태에 대해서 능수능란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대규모주차를 적용해야 하는 1교시 배치계획의 주차대수가 많기때문에 일반적으로 일방향 주차를 적용하게 되는데, 이 역시 배치계획 단계에서 초기에는 위치와 개략적인 위치 정도만 확인하고 세부적인 계획은 건물 및 옥외공간의 계획이 마무리된 후에 트레이싱지를 이용해서 5M간격으로 그리드를 그려서 차선계획과 주차계획을 하게되면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5M로 그리드를 그려서 하는 이유는 빠른 계획속도 때문이기는 하지만 실제 필요한 치수보다 차도의 폭이 1M부족한 상태에서 계획을 하기때문에 어느 정도 여유치수를 염두해 두고 계획해야 답안지에 작도시 치수가 부족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일방향 주차장의 계획을 빠르고 정확하게 계획하기 위해서는 27, 32와 같은 치수를 암기하고 있어야 개략적인 일방향 주차장의 계획시 실수없고 정확하게 계획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