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사자격시험60

건축사자격시험 주차계획 이론 및 응용[2015년 평면기출문제 작도 #5] 건축사자격시험 주차계획에 대해서 기본적인 이론 과 1교시 배치계획과 2교시 평면설계에서 적용되는 배치계획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결국, 건축사시험 1교시 배치계획에서 다루는 주차계획과 2교시 평면설계에서 다루는 주차계획은 다름을 인식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2교시 평면설계에 출제되는 주차방식은 좀 더 정밀하고 세밀하며, 응용이 필요한 주차 계획 능력이 필요하다. 보통 옥외공간인 주차장의 위치를 먼저 선정하고 주차계획까지 마무리하게 되면 건축물의 형태 및 규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기때문에, 계획단계에서는 개략적인 주차장의 위치와 규모만 확인하고, 건물위주로 계획 후 남는 공간에 주차장을 계획하는 것이 올바른 계획방법이라고 볼 수있습니다. 그렇기 때문.. 2020. 1. 18.
건축사자격시험 건축계획각론(유치원의 이해) 방대한 건축계획각론의 내용을 건축사자격시험에 알맞게 정리하고 요약해서 핵심적인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유치원의 경우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와 다른 독특하고 차별화된 내용을 건축계획각론을 면밀히 살펴보면 그 차이점을 아래의 그림과 같이 알수있습니다. 1. 유치원 계획의 전제조건 유치원의 시설계획은 일반 초,중학교와 달리 어린이들의 특수한 조건 및 유아의 심리 상태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2. 계획의 주안점 유아의 교육은 강제적 학습이 아니라 자발성에 의한 놀이가 중심이 되고 그 놀이를 통해서 교육되어 지식이나 사회성을 채득해 나가는 것입니다. 유아의 생활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교실의 연장부분으로 옥외공간을 계획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3. 입지조건 유치원의 입지는 무엇보다 어린 유아들의 발육과 위생에 있으.. 2020. 1. 16.
기본모듈vs이형모듈 [건축사자격시험](2015년 기출문제풀이포함)#2 건축사자격시험 2교시 평면설계 중 모듈에 대한 내용입니다. 앞 시간에 살펴 본 모듈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내용을 이어가겠습니다. 앞 시간에 살펴보았 듯이 모듈은 실제하지 않지만, 구조모듈은 존재하기 때문에 구조형식에 종속되는 이형모듈은 무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즉, 고정된 기본모듈(50모듈)은 지금까지 출제되었던 건축사시험 기출문제를 분석해 보아도 항상 적용되는 사항은 아니고, 여러가지 변수(증축여부,옥외공간의 크기,내부실들의 면적 및 조닝 등)들에 의해서 항상 변화하는 변수이기 때문에 모듈계획시 기본모듈을 적용해서 계획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방법론일 수 있습니다. 오히려 가변모듈의 경우 모든 변수들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변모듈의 적.. 2020. 1. 11.
건축사자격시험 모듈(Module)이란 무엇인가?[건축사시험 2015년 기출문제풀이포함]#1 평면계획에 있어서 모듈(Module)은 무엇이고, 그 본질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수동적으로 받아 들였던 모듈의 정체와 그 본질에 대해서 2015년 2교시 평면계획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듈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첫째, "철근콘크리트조"라는 구조적 한계성에서 시작됩니다. 일반적으로 라멘(RC)구조의 경우 기둥의 간격은 경제성,합리성 등을 고려할 때 약6.0M~9.0M까지를 사용합니다. 간혹, 스판의 간격이 9.0M를 초과해서 15M까지 계획할 필요가 있을 경우 부분적으로 철골구조(SRC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이고, 대부분의 기둥계획은 6.0M에서 9.0M사이를 기본적으로 사용합니다. 두번째 요소로는 입면계획의 필요성. 특히, 외부 창호의 디자인에 의해서 .. 2020. 1. 10.
건축사자격시험 배치계획풀이/지형계획(2019년도 기출문제)#5 건축사자격시험 1교시 배치계획중 지형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도면다운로드: 건축사시험에서 지형계획이 어려운 이유는 이론 자체는 단순 하지만, 응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특히, 복합지형조정(건축물,외부공간,도로 등)의 형태로 출제 되면, 난의도는 급상승하게 됩니다. 출제경향을 분석해 보면,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지형계획이 단독 소과제로 출제되었고, 지형계획의 난의도는 높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06년 1회 및 2회의 경우 지형계획 문제는 배치계획에 통합되어서 문제의 난의도는 급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2007년 이후에는 배수로를 적용하지 않는 형태 및 부분적으로 옹벽을 활용하는 문제가 출제되면서 실무형에 가까운 지형계획 문제가 총 7회(2007년,2009년,2011년,2012년,2013년,2.. 2020. 1. 9.
건축사자격시험 배치계획풀이/도면작도(2019년도 기출문제)#4 건축사자격시험(건축사시험) 배치계획 중 도면작도 단계입니다. 내용이 긴 관계로 지형조정은 다음편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AhQIo6_5mFM *도면다운로드 작도 시간은 지형조정 부분을 제외하고 약45분~50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2019년도 기출문제의 경우 난의도가 높고, 지형조정까지 포함되어 있는 문제 유형으로 시간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문제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 1. 8.